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B형 간염 줄었는데 간암 발생은 여전…수검률이 '복병'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2일 대한간암학회는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간암의 날을 맞아 간암 환자의 생존율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국가예방접종 및 검진 사업으로 B형 간염이 줄어들었지만 간암 발생률은 여전히 요지부동이라는 지적이 나왔다.정기 검진이 간암의 조기 진단에 큰 기여를 하고, 간암 환자의 생존울 향상에도 영향을 주지만 2021년 기준 20만명 정도가 국가 간암 검진을 받고 있지 않아 이들이 '복병'으로 지목된 것.알코올 및 지방간에 의한 간암 발생이 늘고 있다는 점에서 간암 검진 수검률 향상을 위한 학계, 정부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2일 대한간암학회는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간암의 날'을 맞아 간암 조기 진단을 위한 국가 검진 현황을 살펴보고 검진 수검률을 높여 간암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다른 암종과 다르게 간암은 주로 만성 간질환(만성 B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알코올 간질환, 대사 이상 연관 지방간질환 등)에서 발생하고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에서 간암 발생률이 더욱 높게 나타난다.특히 다른 암과 달리 자각 증상이 없어서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치료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돼 정기 검진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문제는 1970~1980년대 B형 간염의 유병률이 높고 B형 간염이 우리나라 간암 발생의 주 원인이었지만 1995년 이후 적극적인 국가예방접종 사업 및 국가 검진 사업이 시행됐음에도 간암 발생률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는 점.김성은 간암학회 기획위원(한림의대 소화기내과)은 "치료법과 검진 사업을 통해 B형 간염에 의한 간암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며 "하지만 2008년에서 2018년까지 우리나라 암 발생률을 조사한 자료에 따르인 간암은 암 빌생률 6위로 나타나, 여전히 높은 경항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이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암의 발생은 줄어들고 있지만,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암 발생이 줄어들지 않는 점과 알코올 및 지방간에 의한 간암 발생이 놀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며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적 문제는 상당하다"고 개선을 촉구했다.김성은 간암학회 기획위원은 간암 사망률 저감의 핵심이 정기 검진에 달려있다고 그 중요성을 환기시켰다.간암은 중증도가 높아 암 사망률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으로 경제적 생산성이 높은 중년에 비교적 많이 발생해 사망률이 높다는 점에서 국가적으로 부담이 큰 질환이다.다른 암종과 달리 대부분 자각 증상이 없어서 황달, 복수, 간성 혼수, 정맥류 출혈, 등과 갈은 증상이 발생한 때에는 대부분 진행된 간암 상태에서 진단되기 때문에 간암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기 검진의 중요성이 부각된다.김 위원은 "간암을 늦게 발견한 경우 통상적으로 충분한 치료의 기회를 얻지 못해 기대 여명이 길지 않다"며 "결국 간암은 조기 진단이 생존율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여타의 암종보다 더욱 적극적인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그는 "우리나라의 국가 암 검진 중 간암 검진은 만 40세 이상에서 간경변증이 있거나 B형 간염, C형 간염 등의 병력이 있는 사람들에게 시행되고 2016년 연 1회에서 연 2회로 주기가 개선됐다"며 "국가 간암 검진 수검률은 2016년 이후로 꾸준히 상승해 2021년에는 74.3%로 나타나 모든 암종 검진 중 가장 높다"고 말했다.이어 "이대목동병원의 간암 검진 자료(2017년~2020년)를 분석했을 때 간암 검진을 받은 환자 중 조기 간암으로 진단된 환자가 82.5%로 높게 나타났다"며 "이는 2003년~2005년, 2008년~2014년의 국가 간암등록사업 자료에서의 32.1~55.6%와 비교했을 때, 조기 간암으로 진단되는 환자의 비율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조기 간암 진단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완치 가능한 치료를 선택할 수 있는 비율도 늘어나, 단일 기관의 누적 생존율(5년 생존울 83.4%)이 간암등록사업 자료의 생존율(5년 생존울 27.0%)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됐다.따라서 간암 검진 수검률을 좀 더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간암 사망률 저감의 핵심이라는 것.김 위원은 "조기 간암 진단율도 향상됐지만 지금보다 더 높은 검진이 이뤄진다면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수술 등의 근치적 치료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생존울 항상이라는 목표를 이률 것으로 기대된다"며 "2021년도를 기준으로 약 20만명 정도가 국가 간암 검진을 받지 않고 있다"고 우려했다.그는 "이 중에서 약 50%인 10만명 정도는 국가 간암 검진도 하지 않고 병원 검진도 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대한간암학회 최종영 회장과 김도영 기획이사는 국가 간암 검진 수검률 향상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그는 "정기 검진은 간암의 조기 진단에 큰 기여를 하고 있고, 간암 환자의 생존울 향상에도 영향을 준다"며 "간암은 조기에 진단되지 않으면 완치 가능한 치료법을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간암 정기 검진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학회 및 국가 차원에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024-02-03 05:30:00학술

크리스탈지노믹스 캄렐리주맙, FDA 간암 품목 허가신청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크리스탈지노믹스가 국내 판권을 보유한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 병용요법 품목허가신청(BLA)이 미국에서 시작됐다.파트너사인 항서제약(JIANGSU HENGRUI MEDICINE)은 미국 개발 중심 자회사 ‘루자나(Luzsana)’를 통해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의 간암 1차 치료제 허가를 위한 BLA를 지난 31일(미국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1일 밝혔다. 글로벌 543명의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캄렐리주맙'과 '아파티닙' 병용요법 임상 3상의 최종 결과, 대조군인 소라페닙 대비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이 22.1개월 대 15.2개월,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 5.6개월 대 3.7개월, 객관적반응률(ORR) 25.4% 대 5.9% 등의 결과가 나와 1차 유효성지표(Primary endpoints)가 모두 충족된 바 있다.주된 간세포암 발병 원인별로 보았을 때도 동양인에서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B형 간염 바이러스(HBV)와 주로 서양인에서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연관된 간세포암 환자 모두에서 두드러진 생존 혜택을 보여 지역이나 발병 원인에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역관문억제제와 신생혈관저해제 병용요법은 항혈관신생 약물이 종양 내피를 변경하여 약물 전달을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과기 면역 세포(effector immune cells)의 침윤이 증가할 수 있다는 기전이다. 먼저 허가 신청서를 제출한 중국에서는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간암 1차 치료제로 지난 2월 승인을 받은 바 있다.한편, 간암 1차 치료제 시장은 PD-L1억제제 '아테졸리주맙'과 VEGFR억제제 '베바시주맙' 병용요법과 티로신키나아제억제제 '소라페닙' 단독요법만이 사용 권고되고 있다.NCCN 가이드라인에 '우선권고요법(preferred regimens)'로 등재된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 병용요법은 최종 임상 결과에서 mOS 19.2개월, mPFS 6.8개월, ORR 29.8%를 나타내 지난 2020년 허가된 바 있다.크리스탈지노믹스 관계자는 "캄렐리주맙은 현재 비소세포폐암 대상으로 식약처로부터 마지막 단계인 판매 목적의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획득하여 가교 임상이 진행중이며, 항서제약이 미국에서 간암 BLA를 제출함에 따라 한국에서는 HLB생명과학과 함께 BLA 제출을 협의 중"이라면서 "캄렐리주맙의 우수한 임상데이터가 'ASCO 2023'을 기점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어 항서제약과의 협력을 강화해 한국에서의 임상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3-06-01 11:51:38제약·바이오

한국로슈진단, cobas 5800 및 시약 출시 기념 사내 행사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킷 탕)은 사옥에서 중소형 분자진단 전자동화 장비인 cobas 5800 시스템 출시와 혈액 및 코로나 관련 진단 시약의 추가 허가를 기념해 축하 행사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cobas 5800 시스템 장비는 중소형 병원 및 검사실에서 사용이 적합하도록 컴팩트한 크기를 자랑하며 기존의 대용량 분자진단 장비인 cobas 6800, cobas 8800 시스템과 동일하게 핵산추출부터 검사 결과 도출까지 단일 장비로 검사 가능한 올인원 솔루션이다.이번에  cobas 5800 시스템에 추가로 사용 허가를 받은 검사는 혈액 관련 고위험군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 3종과 코로나19-독감 동시진단 검사.혈액 고위험군 바이러스 검사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와  제 1형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의 감염을 진단할 수 있는 cobas HBV, cobas HCV, cobas HIV-1 정량 검사가  있으며  코로나19-독감 A/B형을 동시 진단할 수 있는 cobas SARS-CoV-2 & Influenza A/B 다중 정성 키트 검사가 있다.  한국로슈진단 분자진단사업부는 이번 기념 행사를 통해 내부 직원 및 대리점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cobas 5800 시스템의 검사 포트폴리오 확장과 더불어  미래 전략을 공유하고 실제 장비를 전시하는 등 다양한 이벤트를 마련했다.한국로슈진단 킷 탕 대표이사는 "cobas 5800 출시에 이어 시약 허가를 통해 중소형 검사실에서도 대형 장비와 동일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게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검사실 간 표준화와 업무의 효율성 두 가지 모두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단기업의 선두주자로서 노력을 아까지 않겠다"고 말했다.
2023-03-27 11:36:44의료기기·AI

미국CDC 15년만에 간염 권고 개정…선별검사 강화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의료선진국을 중심으로 유병률과 상관없이 C형 간염을 국가검진에 포함시키는 추세인 가운데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또하나의 강화된 간염 예방 전략을 들고 나왔다.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선별검사 대상을 18세 이상 모든 성인으로 강화하고, 예방접종 상태나 검사 이력에 관계없이 모든 임산부에게도 선별검사를 권고하는 등 변화된 기준을 제시했다.10일 미국CDC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선별 및 검사' 권장사항을 개정안을 공개했다. 이는 2008년 이후 15년만에 개정된 것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바이러스성 간염 제거 목표 공유 및 간염 보균자가 보균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실정 등을 반영했다.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HBV) 감염은 상당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초래할 수 있다. HBV 감염자는 간암 및 간경화 위험이 증가하고 일반 인구보다 조기 사망할 가능성이 70~85% 더 높다.치료가 완치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항바이러스 치료, 모니터링 및 간암 감시를 통해 이환율과 사망률을 줄일 수 있고 B형 간염을 예방하는 백신도 개발된 상태라는 점에서 CDC는 보다 강화된 검진에 초점을 맞췄다.미국CDC의 B형 간염 권고안. 18세 이상 모든 성인에 대한 선별검사를 주문했다.주요 변화는 18세 이상 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세 가지 검사를 활용한 B형 간염 선별검사 권고다.선별검사는 HBV 노출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지 않은 무증상자에 대한 혈청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18세 미만의 소아 및 청소년은 HBV 감염률이 낮고 백신 접종률이 높기 때문에 보편적 선별 권장 사항에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위험 요인이 있고 완전한 백신 시리즈를 접종받지 않은 18세 미만의 소아 및 청소년은 검사를 받아야 한다.보편적 선별검사 적용에 대한 근거로 CDC는 2021년 경제성 분석 연구(doi.org/10.1093/cid/ciab405)를 제시했다.연구에 따르면 진단되지 않은 만성 HBV 감염의 추정 유병률이 0.24%이고, 항바이러스 치료 약물 비용이 연간 894달러 미만으로 유지된다고 가정할 때 18~69세 성인의 보편적인 HBsAg 선별검사는 현재 치료 비용 보다 낮았다.보편적 선별 검사가 더 이상 비용 효율적이지 않으려면 항바이러스 치료 약물 비용이 연간 9692달러로 증가해야 한다. 다시 말해 항바이러스 치료 약물 비용이 현재 대비 19배 증가하지 않는 한 선별검사가 더 비용-효과적이라는 뜻.이어 CDC는 "보편적 선별검사는 대상성 간경변증 7.4건, 비대상성 간경변증 3.3건, 간세포암종 5.5건, 간 이식 1.9건, 검사 대상 10만명 당 HBV 관련 사망 10.3건을 추가로 예방할 수 있다"며 "18~69세 성인의 보편적인 HBsAg 선별검사는 QALY(Quality-Adjusted Life Year)당 26만 2857달러를 절약하고 선별된 성인 10만명 당 135 QALY를 얻을 수 있다"고 제시했다.HBV 감염 상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세 가지 주요 혈청학적 마커는 ▲B형 간염 표면 항원(HBsAg) ▲B형 간염 표면 항원에 대한 항체(anti-HBs) ▲B형 간염 핵심 항원에 대한 항체(anti-HBc)로 제시됐다.예방 접종 상태나 검사 이력에 관계없이 각 임신 중인 모든 임산부에게도 선별검사가 권장된다.한편 증상이 있거나 HBV 노출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 사람을 대상으로 혈청학적 검사를 실시하는 대상에서 'HBV 검사를 요청하는 사람'이 신규 추가됐다.CDC는 "많은 사람들이 간염 검사에 따른 낙인 위험을 꺼릴 수 있다"며 "HBV 검사 요청자가 있으면 이런 위험과 관계없이 검사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제시했다.검사를 받아야 하는 HBV 감염 고위험군에는 ▲감옥, 교도소 또는 기타 구금 시설에 수감됐거나 이전에 수감됐던 경우 ▲HCV 감염자 또는 과거 HCV 감염자 ▲비 HIV 성병(STI) 혹은 과거 STI 보유, 여러 성 파트너를 가진 경우도 신규 추가됐다.CDC는 "3개의 새로운 위험군 추가는 HBV 감염 유병률 1% 이상을 기반으로 했다"고 밝혔다.이와 관련 대한간학회 관계자는 "주요 의료선진국을 중심으로 간염을 조기 진단하고 치료에 개입하는 것이 향후 간경화, 간암, 사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발생보다 비용-효과적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며 "이런 인식이 간염의 보편적 선별검사 권고나 국가검진 시스템에서 검진을 커버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실제로 다양한 연구에서 B형 간염뿐 아니라 C형 간염 역시 보편적 스크리닝이 비용-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며 "적극적인 예방 전략 및 치료 전략 수행을 통해 감염의 유병률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23-03-15 05:30:00학술

멀고 먼 B형 간염 완치제…베피로비르센 기대감에 찬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만성 B형 간염 완치제로 기대감을 모았던 GSK의 베피로비르센이 임상 2상에서 실망스런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예상과 달리 9~10%만 완치율으로 보였지만 완치제가 없는 현실을 고려하면 베피로비르센의 추가 임상 가능성도 제기된다.홍콩 메리퀸병원 소속 원만풍(Man-Fung Yuen) 교수 등이 진행한 만성 B형 간염에 대한 베피로비르센의 효과와 안전성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NEJM에 24일 게재됐다(DOI: 10.1056/NEJMoa2210027).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B형 간염은 대부분 무증상이다. 혈액 검사에서 B형 간염 표면항원(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으로 나오는 것을 기준으로 진단하고 치료는 보전적인 치료 및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제를 사용해 완치 개념은 아니었다.자료사진GSK가 개발중인 베피로비르센은 모든 B형 간염 바이러스(HBV) 메신저 RNA를 대상으로 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바이러스 단백질의 수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완치제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연구진은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아날로그(NA) 치료를 받았거나 받지 않은 만성 HBV 감염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했다.참가자들은 24주 동안 베피로비르센 300mg(그룹 1)을 매주 피하 주사, 베피로비르센 300mg을 12주 투약 후 150mg으로 12주 매주 피하 주사(그룹 2), 베피로비르센 300mg을 12주 동안 투약 후 위약을 12주 동안 매주 피하 주사(그룹 3), 위약을 12주 동안 투약 후 베피로비르센 300mg을 12주 동안 피하 주사(그룹 4)했다.모집단은 457명의 참가자(NA 치료를 받는 227명/NA 치료를 받지 않는 230명)로 구성됐다.NA 치료를 받는 사람들 중 일차 결과를 충족한 사람은 그룹 1에서 6명(9%), 그룹 2에서 6명(9%), 그룹 3에서는 2명(3%), 그룹 4에서는 0명이었다.NA 치료를 받지 않은 참가자 중 일차 결과를 충족한 사람은 그룹별로 각각 7명(10%), 4명(6%), 1명(1%), 0명이었다.1~12주 동안 주입 부위 반응, 발열, 피로,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 수치 증가를 포함한 부작용은 위약(그룹 4)보다 베피로비르센(그룹 1, 2, 3)에서 더 흔했다.연구진은 "2b 임상에서 24주 동안 매주 300mg의 용량으로 베피로비르센을 투여하면 만성 HBV 감염 참가자의 9~10%에서 지속적인 HBsAg 및 HBV DNA 손실이 발생했다"며 "베피로비르센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크고 긴 시험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2022-11-25 12:02:51학술

B형간염 완치 후 간암위험 예측모델 세계최초 개발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가톨릭대학교 소화기내과 서울성모병원 장정원(교신저자)⋅은평성모병원 양현(제1저자) 교수팀은 B형간염 표면항원이 소실된 환자의 간암 발생 위험도 예측 모델을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서울성모병원 장정원, 은평성모병원 양현 교수장 교수팀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병원에서 면밀히 추적된 총 1443 명의 B형간염 표면항원이 소실된 만성 B형간염 환자들을 최장 30년 까지 추적 관찰하며 대규모-장기 코호트를 이용해 연구했다.그 결과, ▲B형간염 표면항원 소실 당시의 나이 ▲간경변증의 유무 ▲중등도를 초과하는 음주(남성은 하루 2잔, 여성은 하루 1잔 초과), ▲간세포암의 가족력이 B형간염 표면항원 소실 후에도 간암 발생의 위험인자임을 밝혔다.이 4가지 위험인자를 이용해 간세포암 발생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했고, 시간-의존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곡선으로 평가한 5년, 10년, 15년 예측도가 각각 0.799, 0.835, 0.817로 그 예측도가 우수함을 보고했다. 또한 예측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내부검증(internal validation)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B형 간염은 국내 간암 발생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 전체 간암 환자의 약 60~70%의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는 전 인구의 약 2.5~3%가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로 유병률이 높다. 6개월 이상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지속 감염된 만성 감염자의 20% 정도는 간경변으로 진행되는데, 간경변에 걸린 환자 중 매년 약 2~7%는 간암이 발생한다.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정상인에 비해 간암 발생 위험도가 약 10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은평성모병원 양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B형간염 완치 후에도 간암 발생이 일어날 수 있으며, 어떤 환자들을 더 중점적으로 면밀히 추적 관찰해야 하는 지 밝혀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B형간염 완치 후에도, 간경변증이 이미 있거나, 간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음주량이 많은 경우나, 고령인 경우에는 반드시 간암 감시검사를 놓치지 않고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성모병원 장정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모델은 B형 간염 완치 후에 간암 위험도에 대한 세계최초의 예측모델이다.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는 환자의 건강정보를 이용한 이번 모델이, 향후 B형 간염에서 완치된 환자들의 적정 임상 관리방법에 대한 가이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간장학 분야 국제 학술지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 9월호에 게재됐다.연구논문 제목은 'A risk prediction model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seroclearance'이다. 
2022-09-13 11:44:20학술

늘어난 복합제·병용요법…약물 유발 간 손상 지침 첫 등장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다양한 복합제 및 병용요법 도입, 건강보조식품의 섭취가 늘면서 약물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지침이 첫 등장했다.현재 1000개 이상의 전문약, 10만개 이상의 일반약이 유통되고 있는 만큼 간 손상 의심 약물에 대한 모니터링, 위험 여부 판단 등 관리방법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게 학회의 판단이다.미국 간질환연구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s, AASLD)가 약물, 한약 및 식이보충제 유발 간 손상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이를 7일 공개했다(doi:10.1002/hep.32689).소화기와 간 관련 전문가 패널의 합의에 의해 개발된 64개 항목의 이번 지침은 약물 유발 간 손상(drug-induced liver injury, DILI)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일반적인 관리 및 조직학적 특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마련됐다.현재 미국에선 1000개 이상의 전문약과 10만개 이상의 일반약, 60여종의 주요 건강보조식품 성분이 유통, 판매되고 있지만 그간 검증되고 객관적인 진단법이 없어 약물 유발 간 손상의 진단 및 대처가 어려웠다.먼저 임상의는 의심 환자를 평가할 때 직접적, 특이적, 간접적 세 가지 주요 간독성 유형을 숙지해야 한다.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직접 간 독소는 임계 용량이나 사용 기간을 초과하면 일반적으로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간 독성 관리 지침 중 일부특이적 간 독소는 일반적으로 용량이나 기간에 관련이 없지만 약물 투여 중 또는 투여 후에 서로 다른 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일반인 1000명 당 1명~100만명 당 1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간접 간독소는 일반적으로 용량에 의존하지 않으며 면역억제제 주입 후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재활성화와 같은 간 또는 면역 체계에 대한 약물의 생물학적 작용을 나타낸다.환자의 위험도는 일반적으로 약물 투여량, 친유성, 간 대사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진단은 주로 180일 동안의 약물 노출에 대한 상세한 의학 기록, 약물 중단 전후의 간 생화학 테스트를 거치며 바이러스 간염, 대사성 간 질환, 자가 면역질환과 같은 다른 원인을 제외해야 한다.학회는 임상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4개 약물에 대한 모니터링 전략을 제시했다.먼저 결핵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이소니아지드는 간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학회는 "잠복성 결핵에 대한 권장 치료법은 최근 6~9개월의 이소니아지드 단독 요법에서 다른 약제와 함께 3~4개월 복용하는 방법을 포함해 간독성 위험이 낮은 요법으로 변경됐다"고 설명했다.활동성 결핵에 대한 치료는 여전히 이소니아지드가 시행되지만 리파마이신, 피라진아미드, 에탐부톨 등 다양한 개별 환자 특성에 따라 다른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간 독성 발생 후 이소니아지드의 재 투약 시 환자의 10%에서 재발성 간 손상을 유발한다. 학회는 이 경우 이소니아지드를 활동성, 약물 내성 결핵 환자에게만 투약해야 한다고 제시했다.한편 면역 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MTX)의 장기간 투약은 간 지방증 및 섬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학회는 "MTX 요법으로 간 손상을 가속화할 수 있는 확립된 위험 요소에는 알코올 섭취, 기존의 간 질환, 당뇨병, 고지혈증 및 비만이 포함된다"며 "미국 류마티스학회의 2021년 관절염 치료 지침은 NAFLD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진행성 간 섬유증이 없는 정상 간 상태에만 MTX를 사용하도록 제한한다"고 설명했다.이어 "건선 관리를 위한 2020년 피부과아카데미 지침은 간독성 위험 인자가 있는 환자에서 MTX 요법을 받는 동안 매년 섬유증-4 혈청학적 검사 및 일시적 탄성 조영술을 권장한다"며 "3~6개월마다 모니터링이 권장되고 비정상 결과가 나오면 간 생검을, 3.5~4.0g의 누적 용량 투약 후엔 모든 MTX 투약자에 대해 일시적 탄성 조영술 및/또는 간 생검이 권장된다"고 제시했다.이상지질혈증 치료제 스타틴은 일반적으로 간 기능 장애 유발이 적은 편이다. 학회는 "연구 사업에 등록된 1188명의 환자 중 22명(1.8%)만이 8년 동안 스타틴에 기인한 급성 담즙정체 및 간세포 손상을 경험했다"며 "여러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알려진 만성 간 질환 환자를 포함해 스타틴과 위약 비교시 혈청 아미노전이효소 수치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따라서 간염 증상이 없는 한 스타틴을 투여받는 환자에서 간 생화학 검사를 권장하지 않고 간 대사로 인해 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에서 스타틴은 피해야 하지만 전반적인 위험 대비 이점을 평가한 후 개별적으로 저용량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 학회 측 지침.최근 종양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 투약이 늘면서 학회는 이에 대한 지침도 마련했다.학회는 "면역관문억제제 유발 간염 발생률은 임상 시험과 관찰 연구에서 각각 1%에서 15%까지 다양하다"며 "환자의 대부분은 치료 첫 6~12주 동안 무증상 손상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간 생검은 환자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도 불구하고 3등급 간독성 또는 황달이 지속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권장하지 않는다는 것이 학회 측 판단.학회는 "1등급 간 손상(ALT>1-3 x ULN 및/또는 총 빌리루빈>1-1.5 x ULN)이 있는 환자의 경우 더 빈번한 모니터링과 함께 지속적인 치료를 권장한다"며 "2등급 간 손상(ALT 3-5 x ULN 및/또는 총 빌리루빈 1.5-3 x ULN)인 환자의 경우 약제 투약을 보류하고 경구 프레드니손 1일 0.5~1.0mg/kg을 고려하라"고 제시했다.이어 "3등급 이상의 간독성(ALT 5-20 x ULN 및/또는 빌리루빈 3-10 x ULN 또는 증후성 간 기능 장애) 환자의 경우, 약제 투약을 영구적으로 중단하고 1~1.5mg/kg 용량의 스테로이드 투약을 고려하라"며 "면역억제제를 중단한 후에도 반동성 간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2~4주마다 계속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22-08-13 05:30:00학술
인터뷰

"질환인식 중요한 B형 간염 주기적인 관리 중요하죠"

메디칼타임즈=황병우 기자국내 간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B형 간염은 만성 환자가 40만 명에 달한다고 알려졌다. 전체 인구의 3% 정도가 B형 간염 바이러스를 갖고 있다.국가검진항목에 B형 간염이 포함되면서 검진율이 높아졌지만, 여전히 30%가량은 본인이 감염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감염 사실을 알고 있어도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된다.민지원 원장대구 범물경대연합내과 민지원 원장은 "B형 간염 보균자라면 6개월마다 주기적인 검사를 받아 바이러스 증식이 활성화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치료가 필요하다면 꾸준히 약을 먹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민 원장에 따르면 매년 약 2만명이 간 질환으로 사망하는데, 그 중 절반 이상이 만성 B형간염이 원인이다. 특히 사회활동이 가장 활발한 40~50대 남성들의 주요한 사망원인으로도 꼽힌다.B형 간염은 음식이나 식기를 통해서는 거의 전염되지 않지만, 모계 수직감염이어서 B형 간염 보균자 산모의 자녀는 감염이 된다. 수평 감염으로는 혈액이나 체액을 통한 전염이 있다.국내는 수직 감염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 외에도 B형 간염 환자와의 성접촉, 비위생적인 시술(문신, 침, 피어싱 등), B형 간염 환자와의 면도기, 칫솔 공유로 전염되는 사례들이 있다.민 원장은 "국내 수직 감염 비중이 높은 만큼 가임기 여성이 40세 전 검진으로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면 수직감염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다행히 국가검진에 B형 간염이 포함되면서 10년 전과 달리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비율이 크게 올랐다"라며 "간암 가족력이 있거나 간수치가 정상 범위를 넘어가는 등 위험인자가 있는 사람들도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수직 감염을 특히 주의해야 하는 이유는 신생아 감염 시 90% 이상이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만성 간염으로 번지면 1년 이내 5%, 5년 이내 23%가 간경변으로 이어진다. 간경변은 간이 딱딱하게 굳어 기능을 상실한 상태로 치료를 받더라도 진행을 막을 뿐 정상 상태의 간으로 회복하기 힘들다.이와 함께 민 원장은 "비증식 바이러스라면 대부분 양호한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지만, 약 20%에서는 면역활동기, e항원 음성 간염 등으로 재활성화와 비활성화를 반복하면서 간경변증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비증식기여도 주기적인 검사는 필수"라고 강조했다.만약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을 받았다면 3~6개월마다 검진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간암은 2~3달 내에도 종양 크기가 두 배로 커질 수 있어서다.민지원 원장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이라면 꾸준함이 강조된다. 약물 치료제는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뛰어나지만, 근본적으로 바이러스를 제거하지는 못한다. 치료를 중단했다가 2년 이내 B형 간염이 재발한 사례도 50%에 달했다. 그 중 절반가량은 간염이 심하게 악화됐다.민 원장은 "B형 간염 치료는 약물마다 효과나 부작용, 내성 발생률, 재발 가능성 등에 차이가 있어 기저질환 등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결정하게 된다"며 "최근에는 테노포비르 알라페나미드(TAF, 제품명 베믈리디)를 초기부터 쓰는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데,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TDF, 제품명 비리어드)은 골다공증 이슈가 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끝으로 그는 "최근에 나온 약제들은 내성발생률도 적고 부작용도 개선돼 B형 간염도 완치는 어렵지만 꾸준히 약을 복용한다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질병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2-07-08 05:30:00아카데미

비리어드와 정면 승부 선언한 비리얼…그 결과는?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1천억원대 처방액을 자랑하는 B형 간염 치료제 '비리어드' 시장 공략을 위한 국내 제약사들의 쟁탈전이 계속되고 있다.비리어드를 대상으로 한 헤드 투 헤드(Head to Head)에 도전한 '비리얼'이 대표적인 경우로 3년간의 노력 끝에 임상적으로 동일선상에 섰다는 점에서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국산 개량신약과 비리어드간 헤드 투 헤드 연구 결과가 나왔다.21일 대한의학회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는 국산 B형 간염 개량신약 비리얼과 비리어드간 헤드 투 헤드 임상시험 결과가 게재됐다(doi.org/10.3346/jkms.2022.37.e92).비리얼은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오로테이트 성분으로 현재 B형 간염 표준 치료 옵션인 비리어드(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푸마르산염)을 개량한 약물로 동아에스티가 지난 2017년 개발했다.비리어드의 주 성분인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을 유지한 채 오로테이트로 이른바 '염'을 변경 의약품.이번에 발표된 임상 출시 직후부터 이어진 연구로 비이러드에 대한 비열등성을 증명하기 위한 헤드 투 헤드 연구다. 즉 비리어드와 비교해 유효성과 안전성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임상인 셈이다.이에 따라 가천대 의과대학 권오상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국내 24개 대학병원에서 비리얼 처방군과 비리어드 처방군으로 나눠 2017년 3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이중맹검 무작위 대조 임상 시험을 진행했다.62명에게 비리얼을 주고 61명에게는 비리어드를 처방해 과연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방식이다.결론적으로 1차 종점, 즉 약물의 유효성을 입증하는 1차 종점에서 비리얼은 비리어드에 밀리지 않는 효능을 보여줬다.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변화(HBV) 기준선과 비교해 48주째 DNA 수준을 보는 1차 종점에서 두 약물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구체적으로 투여 후 48주째에 HBV DNA 레벨을 보자 비리얼군은 -5.13±1.40에 달하는 효과를 보여줬다(P<0.001).비리어드 군은 48주 후 -4.97±1.40으로 두 약물 모두 의학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세를 보였다. B형 간염 치료제로서 항바이러스 작용을 충실히 해냈다는 의미다.비리얼과 비리어드간 B형 간염 바이러스  수치 감소 패턴2차 종점으로 설정된 미 검출 HBV DNA의 비율 또한 비리얼이 비리어드에 밀리지 않았다.미리 지정된 비열등성 구간안에서 검출할 수 없는 HBV DNA의 비율을 조사하자 비리얼을 처방한 환자는 78.7%, 비리어드 그룹은 75.4%를 기록해 이 역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보조 지표들도 마찬가지 경향을 보였다. 2차 평가 변수로 설정된 ALT(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정상 비율과 B형 간염 외피 항원(HBeAg), B형 간염 표면 항원(HBsAg) 소실 환자 비율도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실제로 48주간의 임상 시험에서 ALT 수치가 정상으로 전환된 환자의 비율을 보자 비리얼을 처방한 환자들은 75.3%, 비리어드를 복용한 환자는 73.3%로 집계됐다.평균 ALT 수치도 비리얼군은 110.64±77.73에서 32.16±15.17U/L로, 비리어드군은 115.93± 85.96에서 35.16±U/L로 모두 유의하게 감소했다.약물의 작용을 방해하는 B형 간염 외피 항원(HBeAg) 소실 환자를 보면 비리얼 그룹은 8.1%, 비리어드 그룹은 10.8%로 이 또한 유사했다. 또한 B형 간염 표면 항원(HBsAg)의 경우 어떤 환자에서도 소실이 나타나지 않았다.'안전성 부분에서도 합격점을 바았다. 두 그룹간 이상 반응 비율은 매우 유사했고 빈번한 증상은 소화불량, 메스꺼움,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이었다. 심각한 이상 반응의 예는 그룹마다 각 두건씩 일어났다.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비리얼이 유효성과 안전성 측면 모두에서 비리어드보다 열등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에게 비리어드와 같은 방식으로 처방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2022-03-22 05:30:00학술

일동 '베시보' B형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 '증명'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 일동제약이 자사 만성 B형 간염 치료제 '베시보'와 관련한 연구 결과가 소화기 분야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9일 밝혔다. 일동제약 베시보정 제품사진. 베시보는 베시포비르(Besifovir)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뉴클레오티드(Nucleotide) 계열의 만성 B형 간염 치료제다. 지난 2017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신약 허가를 취득, 국내 시판과 함께 후속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은 지난 2013년 1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진행된 베시보 임상 3상 시험의 추가 연구 및 분석에 관한 것으로, 베시보가 간의 조직학적 개선뿐 아니라, cccDNA(covalently closed circular DNA) 감소에도 효과가 있다는 내용이다. cccDNA는 간 세포의 핵 내부에 존재하면서 B형 간염 바이러스(HBV)의 증식에 관여하는 물질로서, B형 간염 치료의 주요 지표 중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임상 연구는 만성 B형 간염 초치료 환자군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베시포비르와 테노포비르DF(Tenofovir DF)를 48주간 투여한 후 간의 조직학적 개선 및 cccDNA 변화 등의 유효성 변수를 비교,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두 그룹 모두 간의 괴사 염증 수치가 개선됐으며, 조직학적 반응률의 경우 베시포비르 투약 그룹에서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주도했던 고대 안산병원 소화기내과 임형준 교수는 "연구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베시보는 간의 조직학적 개선뿐 아니라, 간 세포 내의 cccDNA 수치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베시보가 만성 B형 간염 치료제로서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2021-12-09 14:11:55제약·바이오

B형 간염 항바이러스제 조기치료 "간암 위험 50% 감소"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B형 간염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조기에 시작해야 간암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내과 이정훈 교수팀(보라매병원 장희준 교수, 부산백병원 윤준식 교수)은 7일 B형 간염 바이러스 외피항원(HBeAg)이 양성인 시기에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외피항원 소실 이후 시작하는 것보다 간암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이정훈 교수, 보라매병원 장희준 교수, 부산백병원 윤준식 교수.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 위장병학·간장학회지'(IF=11.382) 온라인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국내 16개 대학병원과 유럽, 북미 지역 11개 기관의 B형 간염 환자 9862명의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HBeAg이 양성일 때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시작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간암 발생 위험이 낮았다. 한국인 환자의 경우 발생 위험이 약 54~59% 감소했다. 만성 B형 간염은 면역 관용기, HBeAg 양성 간염기, 비활동성 보유기, HBeAg 음성 간염기 4단계로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염증 반응이 심한 HBeAg 양성 간염기와 HBeAg 음성 간염기에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권고해왔으나 어느 시점이 간암 발생 위험이 더 낮은지 뚜렷한 결론이 없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이미지. 이정훈 교수는 "기존 빠른 치료를 추천하는 근거도 부족했고, 약제 내성 위험으로 환자 스스로 HBeAg 양성 간염기를 극복하도록 수개월을 기다리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연구 결과를 통해 양성 간염기에 빠른 항바이러스제 시작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연구 의미를 설명했다. 그는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은 최대 6개월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검사를 해야 빨리 치료 시작 시점을 잡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제1저자인 보라매병원 장희준 교수와 부산백병원 윤준식 교수는 "혈중 바이러스 양이 많아 간의 염증이 발생할 때 지체 없이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시작해야 간암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며 "그동안 명확히 입증하지 못한 문제를 국내외 여러 기관이 힘을 합쳐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강조했다.
2021-10-07 11:28:39병·의원

표적항암제 '다라투무맙' B형간염 바이러스 재활성화 발견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 다발성골수종 환자에서 사용되는 표적항암제인 '다라투무맙' 치료 중 B형간염 바이러스 재활성화 현상이 국내 연구진을 통해 세계 최초로 보고했다. 왼쪽부터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 이순규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이순규 교수 연구팀은 24일 최근 6년 간 병원에서 '다라투무맙'으로 치료받은 다발성골수종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간기능검사 및 B형간염 항원검사를 실시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참고로 이번 연구는 소화기내과 의료진과 혈액병원 민창기, 박성수 교수와의 공동 연구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 과거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됐으나 현재에는 바이러스 보유자가 아닌 환자의 일부(6.5%)에서 B형간염 바이러스의 재활성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중 일부는 심각한 간 손상이 동반됐다. 현재까지는 림프종의 치료제로 주로 사용되는 표적항암제인 '리툭시맙'이 과거 B형간염 환자들의 B형간염 재활성화를 일으킬 수 있는 항암제로 잘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후천성 면역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새로운 표적항암제에서도 B형간염의 재활성화의 위험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런 B형간염 재활성화 환자에서는 빠른 진단과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환자의 예후에 중요하며, 따라서 치료 전 과거 B형간염 여부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와 치료 이후 간기능 등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이순규 교수는 "우리나라는 현재는 바이러스 보유자가 아니지만 과거에 B형 간염에 노출된 적이 있는 인구 비율이 40%까지 이른다는 보고가 있다"며 "이런 과거 감염 환자도 면역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항암제를 투여 받는 경우 B형간염의 재활성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중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필수 교수는 "다발성골수종과 같은 혈액암 환자에서 B형 간염이 재활성화 될 경우, 간부전과 같은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B형 간염의 재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선제적 항바이러스 치료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감염병학회 학술지 'Clinical Infectious Diseases'(인용지수: 9.079)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2021-08-24 10:00:48학술

B형 간염 환자 코로나 감염 위험 절반 감소…배경 관심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만성 B형 간염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이 정상인에 비해 코로나에 감염될 위험이 크게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특정 항바이러스 제제를 복용하는 경우 감염 위험이 최대 절반까지 줄어든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확장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리버위크 2021에서 B형 간염과 코로나 감염 위험 및 예후에 대한 대규모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13일부터 오는 15일까지 그랜드하얏트인천호텔 등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더 리버위크(Liver week)에서는 B형 간염과 코로나 간의 상관 관계에 대한 대규모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소화기내과 강성희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코로나가 간질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획됐다. 코로나 대유행 초기에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가 간손상을 일으킨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국 등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 환자의 2~11%가 만성 간질환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스페인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모두의 예상을 깨고 B형 간염 환자들이 오히려 코로나 감염 위험이 낮았으며 악화 등 예후도 큰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코로나가 국내에 상륙한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우리나라 B형 간염 환자 23만명을 대상으로 과연 코로나와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는지를 추적 관찰했다. B형 간염이 과연 코로나 감염률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코로나 감염 후 예후에 악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23만명을 분석한 결과 이 중에서 코로나 양성 환자는 8천명으로 집계됐으며 음성은 21만명으로 조사됐다. 다른 요인을 모두 제외하고 감염 위험을 분석하자 오히려 B형 간염 환자들이 정상인에 비해 양성률이 크게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감염 위험이 65%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B형 간염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코로나 감염 위험이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후가 안좋을 것이라는 예측도 완전히 빗나갔다. 미세하게 정상인보다 위험이 높아지긴 했지만 사망률이나 악화율은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같은 경향은 항바이러스 제제를 복용하는 환자에게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만성 B형 간염으로 항바이러스 제제를 복용중인 환자의 경우 코로나에 걸릴 위험이 정상인에 비해 49%에 불과했기 때문. 사실상 절반도 되지 않는 셈이다. 하지만 약제별로는 일정 부분 차이가 나타났다. 상당수 B형 간염 환자들이 복용하는 항바이러스 제제인 엔테카비어의 경우 위험이 44%로 줄었고 테노포비어도 50%로 위험이 감소했지만 아데포비어의 경우 1.78배 위험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중증 악화나 사망률 또한 마찬가지 경향을 보였다. B형 간염으로 항바이러스 제제를 복용중인 환자들이 코로나 감염시 중증으로 악화될 위험은 1.09배에 불과했다. 더욱이 이러한 위험은 사실상 통계적으로는 영향이 없었다(P=0.88). 연구 결과를 발표한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소화기내과 강성희 교수는 "B형 간염 및 항바이러스 제제의 복용과 코로나 감염 위험 등의 상관 관계를 규명한 첫번째 연구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명확하게 만성 B형 간염 환자와 항바이러스 제제를 복용중인 환자들이 코로나 양성률이 크게 낮은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명확한 기전을 확인하지 못했지만 B형 간염 바이러스와 코로나 바이러스간에 상호 작용이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세워볼 수 있다"며 "이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021-05-14 05:45:57학술

항바이러스제 투약기준 ALT 삭제하니 간암 발병 줄어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대한간학회가 B형 간염 항 바이러스 요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변경한 것이 간세포암 위험 등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AST(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수치에 관계없이 HBV DNA만으로 항 바이러스 요법을 시작하도록 한 것이 상당한 효과를 거둔 셈이다. 2007년 가이드라인 2012년 변경…AST, ALT 수치 기준 삭제 오는 26일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는 B형 간염 가이드라인 변경이 간세포암 발병에 미친 영향에 대한 장기 추적 관찰 연구 결과가 게재될 예정이다. B형 간염 가이드라인 변경이 간세포암 등 위험을 크게 낮추는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됐다. 연세대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김승업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지난 2015년 간학회가 B형 간염 가이드라인을 변경한 것이 과연 간세포암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획됐다. B형 간염 바이러스(HBV)는 전 세계적으로 2억 4천만명이나 감염된 다발성 질환으로 만성 B형 간염의 경우 간경변 및 간세포암의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대한 1차 치료로는 엔테카비어나 테노포비어와 같은 경구용 항 바이러스 제제가 활용되지만 언제, 어떤 환자에게 이를 처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는 상황. 이에 따라 2007년 대한간학회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B형 간염에 대한 항 바이러스 요법의 개시 시기와 대상으로 HBV DNA가 2000IU/mL 이상이고 AST 및 ALT 수치가 40IU/L보다 높은 경우로 명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AST나 ALT 등 간 효소 수치가 B형 간염의 진행을 나타내지는 않는다며 이를 진단과 치료 시작의 기준으로 삼아서는 안된다는 의견이 제기돼 왔다. 또한 일부 연구에 따르면 간 섬유화가 심하게 나타난 환자는 오히려 거의 AST와 ALT 수치가 정상 범위를 보인다는 지적이 나온 것도 사실이다. 이에 따라 간학회는 2012년 마침내 가이드라인을 개정하며 항 바이러스 요법 시작을 위한 조건으로 AST나 ALT 수치 기준을 완전히 삭제했다. AST나 ALT 수치에 관계없이 HBV DNA가 2000IU/mL 이상이면 곧바로 항 바이러스 요법을 시작하라는 권고. 이번 연구는 이러한 가이드라인 변경이 과연 실제 환자들에게 혜택을 가져왔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기반인 셈이다. 가이드라인 변경 상당한 효과…간세포암 위험 크게 낮춰 이에 따라 연구진은 이러한 가이드라인 개정에 맞춰 급여 기준이 변경된 2015년을 기준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항 바이러스 요법을 시작한 간경변 환자 429명을 대상으로 간세포암 위험을 분석했다. 가이드라인 변경 전후 간이식, 사망률 등 지표 변화 지침 개정 전에 치료를 받은 군(196명)과 개정 이후 치료를 받은 환자(233)로 나눠 3개월에서 6개월마다 정기적인 검사를 진행하며 추적 관찰한 것이다. 그 결과 항 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특성은 유사했지만 가이드라인 개정 이전에 시작한 환자는 AST가 52, ALT가 46, HBV DNA가 5.7로 개정 이후 환자에 비해 크게 높았다(AST 40, ALT 37, HBV DNA 5.1). 연구진이 추정한 대로 가이드라인 변경은 간세포암 발병 위험에도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변경 이전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를 시작한 환자들이 개정 이후 진료를 받은 환자에 비해 간세포암 발병 위험이 1.9배나 높았기 때문이다. 간세포암의 누적 발생률 또한 마찬가지 경향을 보였다. 변경 전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를 받은 환자의 1년 누적 발생률은 4.1%였으며 2년은 9.3%, 3년은 15.3%를 기록했다. 하지만 가이드라인 변경 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1년 누적 발생률이 2.6%, 2년이 5.4%, 3년이 7.9%로 대조군에 비해 절반 수준에 그쳤다. 비단 간세포암만 이런 경향을 보인 것은 아니었다. 간 이식이나 사망률 또한 큰 차이를 보였다. 간이식 누적 발생률을 비교하자 변경 전 가이드라인을 적용받은 환자는 1년 누적이 2.6%, 2년이 6.9%, 3년이 9.7%로 집계됐다. 반면 가이드라인이 변경된 후 환자들은 1년 0.9%, 2년 1.3%, 3년 4.8%로 이 역시 거의 절반에 불과했다. 결국 B형 간염 가이드라인 변경이 간세포암 발생과 간이식 위험, 사망률까지 절반 이하로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온 셈이다. 연구진은 "대한간학회의 가이드라인 변경이 B형 간염과 간경변 환자의 장기 임상 결과를 크게 개선했다는 것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라며 "관리 지침의 적절한 변경이 고위험 환자의 치료 결과 개선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한 이번 연구는 항 바이러스 요법에 있어 AST나 ALT와 같은 간 효소 수치에 대한 요구 조건을 낮추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포인트를 설명할 수 있다"며 "항 바이러스 요법에 대한 시작 기준을 낮춘 조기 처방이 질병 진행을 상당히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2021-04-23 05:45:57학술

B형간염약 엔테카비르-테노포비르, 간암 발생률 유사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 엔테카비르와 테노포비르간 간암 발생률에서 큰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만 이다병원(E-Da Hospital) 하오정청 등 연구진이 진행한 엔테카비르와 테노포비르 치료간 간암 발생률 연구 결과가 29일 국제학술지 란셋에 게재됐다(doi.org/10.1016/S2468-1253(20)30249-1). 왼쪽부터 엔테카비르, 테노포비르 B형 간염은 보통 간암 발생으로 이어진다. 국내 기준 인구의 약 3~4%가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로 간암 발생의 약 70%는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연구진은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바이러스제 엔테카비르와 테노포비르를 사용했을 때 예후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006~2020년 발표된 총 31건의 관련 연구(확진자 11만 9천명 포함)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간세포암의 5년 누적 발병률은 엔테카비르(28개 연구)가 5.97%, 테노포비르가 3.06%(13개 연구)였다. 엔테카비르의 발병률이 더 높게 나왔지만 성향 점수를 일치시킨 8개 연구에서 5년 누적 발병률은 엔테카비르가 3.44%, 테노포비르가 3.39%로 엇비슷했다. 변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을 조정(공변량 조정)한 14개 연구 분석에서도 두 약제는 간암 발병 위험도가 서로 비슷했다(HR 0.88). 연구진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 두 가지를 비교해 간암 예방에 서로 동등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돼 기쁘다"며 "이것은 환자와 의사이 저렴하고 적합한 약물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엔테카비르와 테노포비르 사이에 발병 위험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임상가들에게 확신시켜준다"며 "이 두 가지 약제 모두 만성 B형 간염에 걸린 사람들의 간암 위험을 줄이는 중요한 약제"라고 평가했다.
2020-10-14 12:10:30학술
  • 1
  • 2
  • 3
  • 4
  • 5
  • 6
  • 7
  • 8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